이정우 교수 대작 3권 중 첫 권
서양철학 중심 반쪽 서술 탈피
‘아시아 세계’ 온전히 자리매김
» 철학자 이정우 |
철학자 이정우(52·사진)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가 <세계철학사1-지중해 세계의 철학>을 펴냈다. 전체 3권으로 기획된 대작의 제1권이다. 지은이는 2000년 철학연구공동체인 철학아카데미를 세운 이래 줄곧 철학사 강의를 해 왔는데, 그 강의록이 이 저작의 바탕이 됐다. 전체 3권의 첫 권이라고는 해도, 이 한 권만으로도 200자 원고지 4000장, 840쪽에 이르는 분량이다. 지은이는 앞으로 2년에 한 권씩 ‘아시아 세계의 철학’(제2권)과 ‘근현대 세계의 철학’(제3권)을 펴낼 계획이다. 이 세 권이 모두 출간되면,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세계철학사 전체를 포괄하는 저작이 등장하게 된다. 지은이는 초국적 기업 중심의 비인간적 세계화를 넘어 보편성을 지닌 진정한 세계화를 이루는 것이 우리 시대의 과제라고 말한다. 그 과제를 해결할 비전을 찾아내려면 과거로 돌아가 그 시대를 역으로 음미한 뒤 현재로 돌아오는 거시적인 지적 성찰이 필수적이다. 세계철학사 집필은 과거를 경유해 새로운 비전을 찾으려는 노력인 셈이다.
이 저작은 ‘세계철학사’라는 이름에 진정으로 어울리는 기획의 산물이라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그동안 서구에서 나왔던 세계철학사 저작들은 사실상 서양철학사를 몸통으로 삼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인도와 중국의 철학 전통에 지면을 할애하더라도, 서구 철학사의 ‘전사’(前史)로 배치할 뿐이었다. 이런 식의 구도는 옛소련 소비에트과학아카데미의 <세계철학사>에서도 반복됐는데, 지은이는 이런 배치가 ‘헤겔적 편견’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말한다. 헤겔은 <철학사 강의>에서 비서구 지역 철학 전통을 철학사의 전사(프리히스토리)로 보았으며, 그런 전통은 오늘날 탈근대철학의 기수인 들뢰즈 철학에서조차 엿보인다는 것이다. “근대 서구인들에게 비서구 지역들은 반드시 ‘전그리스적’이어야 했다.” 지은이는 이런 편견에서 벗어나 인도와 동아시아 철학 전통을 제2권에서 ‘아시아 세계의 철학’으로 따로 서술한 뒤, 제3권 ‘근현대 세계의 철학’에서 다시 종합할 계획이다.
진정한 세계철학사를 쓴다는 지은이의 의지는 첫 권의 부제 ‘지중해 세계의 철학’에서도 확인된다. 지은이는 고대 그리스·로마 철학에서 서구 중세철학으로 이어지는 통상의 철학사 서술 방식에서 벗어나, 그리스·로마와 오리엔트(중동) 지역을 아우르는 서술 방식을 구사한다. 고대 그리스에서 이야기를 시작하되 소아시아·근동 지역에서 발원한 유대교·기독교 사상,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이어받아 중세 서양의 지적 부흥에 이바지한 이슬람 철학을 포괄해 서술하는 것이다. 이들 전체가 지중해 문화권의 자식들인 셈이다. 제1권은 이렇게 서양 중세 철학을 거쳐 르네상스 시기와 근대철학 성립기까지를 다룬다.
그런데 세계철학사를 그리스에서 시작하는 것도 서구적 편견의 소산은 아닐까? 지은이는 그리스에서 철학사를 시작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민주주의가 그렇듯이 ‘철학’이라는 말도 그리스에서 출현했기 때문이다. “민주정과 철학이야말로 그리스 문명이 인류에게 선사한 두 가지 아름다운 선물이다.” 지은이는 철학이라는 독특한 사유양식이 민주주의와 일정한 관련이 있다고 말한다. “전제군주와 일부 귀족계층이 모든 것을 좌우하는 사회에서는 철학이 탄생할 수 없다.” 그리스가 일찍이 민주주의를 탄생시킬 수 있었던 것이 그리스 문명이 바다를 중심으로 한 해양 문명이었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육지로 직접 연결되지 않은, 조그만 나라들로 쪼개진 곳에서는 거대권력이 나타나기 어렵다.
From
사실 내가 이정우의 철학사를 기다린 이유는 따로 있다. 그는 첫 저작인 <담론의 공간>(1994년)에서 "기존의 철학사 연구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띠게 될" 철학사의 기획을 예고했었다. "철학사는 철학적인 원전들을 요약하는 것이 아니다. (…) 철학사는 이 책들에 부재하는 것, 그 책들의 행간 사이에, 그 여백에 보이지 않게 씌어 있는 것을 읽어내는 작업이다." 이런 의미의 철학사가 어떤 형태일지 궁금해 하던 나는 이제 기다림에 대한 보상을 받은 셈이다.
그것은 '세계 철학사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이다. 이전에도 <세계 철학사>라는 책들이 없지는 않았다. 그러나 저자는 이전의 책들이 "실질적으로 서구 철학사"(7쪽)에 불과했다고 지적하며 자신의 책에 참된 의미에서 최초의 세계 철학사의 지위를 부여하려 한다. 그렇다면, 이름이 세계 철학사를 만들어주는 것이 아니라면, 과연 무엇이 세계 철학사를 세계 철학사가 되게 하는 걸까?
나 역시 제목에 끌려 슈퇴리히의 <세계 철학사>를 펼쳤다가 동양 철학이 극히 적은 분량으로 들러리 노릇을 하고 있는 것을 보고 실망했었다. 그러나 동양 철학사와 서양 철학사에 분량을 대등하게 할애한다 해서 저절로 세계 철학사가 성립하지는 않을 것이다. 단지 분량의 공정한 배분이 문제라면 새 책을 따로 쓰는 수고를 생략하고 힐쉬베르거의 <서양 철학사>와 풍우란의 <중국 철학사>, 길희성의 <인도 철학사> 등을 한 데 모아서 '세계 철학사 세트'라고 이름 붙이면 그만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기대하는 세계 철학사는 지역별 철학사라는 낱낱의 부분들을 짜깁기한 합성체가 아니라 온전한 하나의 철학사여야 할 것이다.
From
From
사실 내가 이정우의 철학사를 기다린 이유는 따로 있다. 그는 첫 저작인 <담론의 공간>(1994년)에서 "기존의 철학사 연구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띠게 될" 철학사의 기획을 예고했었다. "철학사는 철학적인 원전들을 요약하는 것이 아니다. (…) 철학사는 이 책들에 부재하는 것, 그 책들의 행간 사이에, 그 여백에 보이지 않게 씌어 있는 것을 읽어내는 작업이다." 이런 의미의 철학사가 어떤 형태일지 궁금해 하던 나는 이제 기다림에 대한 보상을 받은 셈이다.
그것은 '세계 철학사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이다. 이전에도 <세계 철학사>라는 책들이 없지는 않았다. 그러나 저자는 이전의 책들이 "실질적으로 서구 철학사"(7쪽)에 불과했다고 지적하며 자신의 책에 참된 의미에서 최초의 세계 철학사의 지위를 부여하려 한다. 그렇다면, 이름이 세계 철학사를 만들어주는 것이 아니라면, 과연 무엇이 세계 철학사를 세계 철학사가 되게 하는 걸까?
나 역시 제목에 끌려 슈퇴리히의 <세계 철학사>를 펼쳤다가 동양 철학이 극히 적은 분량으로 들러리 노릇을 하고 있는 것을 보고 실망했었다. 그러나 동양 철학사와 서양 철학사에 분량을 대등하게 할애한다 해서 저절로 세계 철학사가 성립하지는 않을 것이다. 단지 분량의 공정한 배분이 문제라면 새 책을 따로 쓰는 수고를 생략하고 힐쉬베르거의 <서양 철학사>와 풍우란의 <중국 철학사>, 길희성의 <인도 철학사> 등을 한 데 모아서 '세계 철학사 세트'라고 이름 붙이면 그만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기대하는 세계 철학사는 지역별 철학사라는 낱낱의 부분들을 짜깁기한 합성체가 아니라 온전한 하나의 철학사여야 할 것이다.
Fr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