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2011.04.16


» 자율주의 이론가 조정환씨


인지자본주의
조정환 지음/갈무리·2만5000원

노동·자본의 형태변화 등‘
인지적 관점’으로 재구성
조정환씨 10년 연구 집약

<인지자본주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자율주의 이론가 조정환(55·사진)씨가 10년 동안의 연구 성과를 집약하여 결산한 책이다. 이탈리아의 철학자 안토니오 네그리에게 주된 사상적 뿌리를 대고 있는 지은이는, 기존의 다양한 마르크스주의 이론뿐 아니라 인지과학의 성과까지 아울러 현대 사회에 대한 총체적인 분석을 내놓는다. 노동형태 및 자본형태의 변화, 그리고 노동과 자본 사이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라는 거시적 틀 속에 종합하고 각각의 문제들의 위치를 밝혀 사회적 총체의 발전경향을 밝히려는 시도다. 지은이는 이 작업이 “우리 시대에 가능한 혁명의 기원과 형태를 밝히는 작업의 필수적인 전제가 될 것”이라며 이 책과 짝을 이룰 다음 책 <혁명의 세계사>(가제)의 출간까지 예고한다.

인지는 “생명체가 지각하고 느끼고 이해하고 판단하고 의지하는 등의 활동에 포함되는 정신적 과정을 총칭하는 용어”라고 한다. 인지생물학자 움베르토 마투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는 인지가 여러가지 감각운동 능력을 지닌 신체의 경험과 근본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함께 진화한다는 것을 밝힌 바 있다.

.
.
.
지은이는 68혁명과 신자유주의에 의해 부정됐던 케인스주의적 사회민주주의가 다시 구원투수로 등장하는 지금의 현상은, 자본주의 속에서 그 어떤 새로운 대안도 없다는 사실을 말해준다고 한다. 지은이는 네그리와 하트의 분석을 빌려, ‘다중의 공통되기’를 강조한다. 자본주의의 발전은 더 많은 공통적인 것을 만들어내지만, 자본은 착취를 위해 그것들을 분할해 통제한다. 사회 전체의 화폐인 금융자본은 노동자의 연기금까지 포함하지만, 착취를 위한 자본가 계급의 공동점유물에 머문다.


From



<독단과 퇴행, 이명박 정부 3년 백서>
김세균·강정구·장상환·변창흠·노중기·전병유 등 지음/메이데이ㆍ1만8000원




<독단과 퇴행, 이명박 정부 3년 백서>는 지금 우리나라 현실을 더는 방관할 수 없다는 생각에 교수들이 각자 전공 분야의 현실을 고발하는 비상궐기대회 같은 책이다. ‘민주화를 위한 전국 교수협의회’ ‘전국교수노동조합’ ‘학술단체협의회’ 등 3대 교수·학술단체가 참여한 대형 기획으로, 정치 사회 노동 경제 문화 언론 사법 등 15개영역에서 이명박 정부 출범 3년 만에 최악 수준의 퇴행이 이뤄졌고, 이런 퇴행이 벌어질 수밖에 없는 원인은 단 한 가지, 이명박 정부의 독단 때문임을 각종 자료와 분석으로 논증한다.


.

필자 중 한 명인 이도흠 한양대 국문과 교수는 그 심정을 책 서문에서 이렇게 밝혔다. 민주주의의 후퇴나 대미 종속 심화로 인한 국익 훼손, 외교 정책의 실패로 인한 국제 고립, 권력으로부터 가장 자유로워야 할 예술과 가장 독립적이어야 할 종교까지 권력의 파트너가 되는 ‘퇴행의 종합선물세트’보다 더 심각한 퇴행은 ‘이명박 정권 3년 동안 대한민국이 “물신·탐욕공화국으로 전환”된 점’이라고 지적한다.

외환위기를 맞아 자발적으로 장롱에서 금붙이를 꺼내 나라에 헌납하고, 충남 태안 앞바다에 기름이 유출되자 100만명 넘게 자발적으로 봉사에 나서던 국민들이 지금은 “나만이 경쟁에서 이기고 나만이 잘살자”는 소시민으로 바뀌게 되고, 그리고 “그런 사람만이 살아남을 수 있도록 여러 부조리한 정책과 제도를 만들어 아무런 소통도 없이 강력히 집행”하는 점이야말로 가장 가장 큰 문제라는 비판이다. 이런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선 결국 이 책과 같은 ‘기억투쟁’이 필수라는 것이다.


From



아이리더십-애플을 움직이는 혁명적인 운영체계
제이 엘리엇·윌리엄 사이먼 지음/웅진지식하우스·1만7000원

그가 말하는 아이리더십은 △밤새 줄서서 사고 싶은 완벽한 제품 △거기에 미친 인재의 선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통합 △모든 소비자가 열광하는 브랜드 만들기 등 네 가지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통합’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경영학이 만들어질 때부터 거론돼 왔던 것으로 별 비밀이라고도 할 수 없는 것이다.

엘리엇이 천방지축 잡스가 카네기나 포드보다 탁월한 경영자가 될 것이라고 예상한 것은 그와 함께 1980년 제록스 연구소를 다녀오면서부터다. 잡스는 이 연구소에서 개발하던 사용자 친화적인 아이디어에 열광했다. 마우스와 윈도시스템에 대한 영감을 얻고 이를 애플에 적용했다. 그는 잡스의 신은 ‘사용자와의 친화’였다고 말한다.


이런 관점에서 지은이는 한국어판 서문에 한국의 일등 기업 삼성전자에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 그는 삼성전자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합해 마니아를 만들어낸 애플과 달리 소비자가 요구하지도 않는 하드웨어 개발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워크맨으로 성공했다 결국 몰락한 소니와 닮았다고 충고했다.(▷애플 전 수석부사장 삼성CEO에 쓴소리…“하드웨어 치중 삼성, 옛 소니와 흡사")


From


〈새로 쓰는 조선의 차 문화〉
정민 지음/김영사·3만5000원

저자에 따르면 우리의 차 문화는 고려시대까지 성행했다가 조선시대에 들어와 쇠락했다고 한다. 중국을 통해 들어오던 차의 보급이 중단되었고, 국내의 차 생산은 저조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조선후기에 부안현감 이운해가 고창 선운사의 찻잎으로 7종의 향차를 만든 뒤 그 방법을 <부풍차향보>(扶風香茶譜)로 남겼고, 이덕리가 <동다기>에서 차 무역을 주장함으로써, 우리의 차 문화가 되살아날 계기를 얻었다.


이 책에는 이야기를 뒷받침하는 자료의 원형 사진과 이를 탈초한 원문, 번역문이 모두 수록되어 있다. 차 이야기를 읽는 재미와 함께 자료집으로서의 가치가 크다는 뜻이다. 책의 부록에는 조선후기의 차 문화 활동을 보여주는 연보가 있고, 찾아보기는 서명, 작품명, 인명, 용어를 구분하여 정리했다. 독자를 위한 편집자의 배려가 돋보이는 부분이다.


From
Fr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