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자의 딸’이 대통령에 당선된다면…


[정석구 칼럼] ‘독재자의 딸’ 무대에 오르다


필자는 박근혜 의원을 주저 없이 ‘독재자의 딸’이라고 부른다. 사실 ‘독재자의 딸’만큼 역사성이 오롯이 담겨 있고, 박 의원을 함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호칭도 찾기 힘들다.


그렇다고 꼭 박 의원을 비난할 목적으로 이런 용어를 쓰는 것은 아니다. 그가 ‘독재자의 딸’이기 때문에 대통령이 되어선 안 된다고 주장하기 위해서도 아니다. 이런 용어를 쓰는 것은 그의 정치세계를 입체적으로 이해하고, 그의 정치적 부상이 한국 정치사에서 갖는 의미가 무엇이며, 그가 만약 대통령이 됐을 때 어떤 미래가 전개될 것인지를 추론하는 분석틀로서 ‘독재자의 딸’이란 호칭만큼 적절한 용어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독재자의 딸’이란 용어는 박근혜의 정치세계가 그의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임을 웅변한다. 박 의원이 정치에 입문하게 된 동기를 살펴보면 이는 더욱 명확해진다. 외환위기가 한창이던 1997년 12월11일, 그는 당시 이회창 한나라당 대선 후보 선대위 고문으로 정치에 첫발을 디뎠다. 그는 “60~70년대 국민들이 피땀 흘려 일으킨 나라가 오늘과 같은 난국에 처한 것을 바라보고 아버님 생각이 나서 목이 멜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며 처음부터 아버지 박정희를 거론하며 정치를 시작했다. “아버지의 꿈이 복지국가였다”는 발언에선 이번 대선의 복지공약도 아버지의 유업을 잇는 것임을 엿보게 한다. 결국 ‘억울하게 죽어간 아버지의 영광스런 업적’을 재현하기 위해 정치를 시작했고, 지금도 여전함을 알 수 있다.

5·16 쿠데타에 대한 평가에선 이런 인식이 더욱 두드러진다. 그는 지난 7월16일 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토론회에서 “아버지로서 불가피하게 최선의 선택을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1989년 5월19일, 10·26 박정희 시해사건 뒤 처음으로 언론에 나와 “5·16은 구국의 혁명이었다”고 말한 것과 큰 차이가 없는 것이다.(<문화방송> ‘박경재의 시사토론’) 특히 5·16 당시의 피폐해진 생활상과 불안한 안보상황을 거론하며 5·16의 불가피성을 주장하는 논리 구조는 23년 전이나 지금이나 한 치도 변함이 없다. 이는 그의 역사인식이 아버지 박정희의 틀 안에 갇혀 있음을 의미한다. 영락없는 ‘독재자의 딸’이다.

그럼에도 ‘독재자의 딸’인 그가 가장 유력한 대선 후보로 부상한 것은 음미해 볼 만하다. 이는 박정희의 독재정치를 비판하는 ‘반독재 슬로건’이 적어도 현실정치에서는 거의 먹혀들지 않고 있음을 뜻한다. 실제로 박근혜를 ‘독재자의 딸’이라고 아무리 비난해봤자 박근혜 지지자들이 돌아설 리 없고, 구경꾼들도 지금 시대에 무슨 연좌제냐며 시큰둥할 것이다. ‘박정희 향수’가 ‘독재자의 딸’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희석시켰을 수도 있고, 먼 과거인 박정희 독재보다 현재의 박 의원의 정치적 비전이 더 큰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 어찌됐든 선거전략상으로만 보면 민주진영의 ‘독재자의 딸’ 딱지붙이기는 박근혜를 깎아내려 선거에서 표를 더 얻기 위한 수단으로는 효력을 상실했다.

만약 ‘독재자의 딸’인 박 의원이 대세론을 유지하며 대통령에 당선된다면 우리 사회는 ‘박정희 독재 18년’에 대해 사실상 면죄부를 주는 셈이 될 것이다. 이는 또 박정희 정권에 뿌리를 둔 수구·냉전적인 원조 보수기득권층이 변신에 성공해 화려하게 부활함을 의미한다. 설사 박근혜의 당선이 ‘독재자의 딸’에 대한 지지가 아니라 그의 뛰어난 정치력과 비전 때문이라 해도 이런 해석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박 의원이 대통령이 되는 순간 그의 지지자들은 유신 독재에 대한 세탁 작업을 본격화할 것이기 때문이다.

박근혜 의원은 어제 새누리당 대선 후보로 확정됨으로써 정치 입문 15년 만에 대권에 가장 근접한 집권여당 대선 후보에 올랐다. 그는 박정희 사후 범보수정권의 맥을 이었던 전두환-노태우-김영삼-이명박 등과는 달리 ‘박정희 영웅신화’에 젖어 있다. 그런 그가 대통령이 된다면 우리 사회의 역사인식과 민주주의는 한 단계 더 퇴행이 불가피할 것이다. 12월19일 국민의 선택이 한국 정치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또 하나의 이유는 여기에 있다.

정석구 논설위원실장


출처

HBO - 미국의 비만







홈 페이지에서 보기 - 고화질 (전체 : 메인 4부작 + 덤 12부)

영어 자막 -> 오른쪽 아래 settings 에서 caption mode on 선택

책 - <불교와 불교학- 불교의 역사적 이해>




<불교와 불교학- 불교의 역사적 이해>
조성택 지음/돌베개·1만5000원


.
.


미국 캘리포니아대(버클리)에서 초기 대승불교 연구로 학위를 받고 뉴욕주립대에서 2002년까지 6년여 동안 비교종교학을 가르친 조성택 고려대 교수의 <불교와 불교학>에 따르면, 미국인들에게 불교는 종교라기보다는 ‘문화’ 또는 ‘철학’에 가깝다. 그들은 붓다(석가모니)의 가르침에 관심을 기울일 뿐 붓다나 승단과 같은 종교적 장치에는 별로 관심이 없다. 그러다 보니 승려가 없는 재가 중심 불교단체가 많고 참선만 하는 ‘선 센터’가 많다. ‘신심’에는 관심 없는 ‘과학적·이성적 불교도’들, 자칭 ‘불교적 기독교도’ ‘불교적 천주교인’이 수두룩하단다. 그들에게 기독교 ‘교회’는 결혼식장으로서의 의미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란다. 주일예배는 거의 노인 차지고, 식사 전에 기도를 올리는 가정을 찾아보기 어렵다. 반면 불자들은 계속 는다. 한국 사회와는 정반대로 가는 것 같다.
신앙 없는 불자들이 다수인 미국 불교가 아직 뿌리를 내린 것으로 볼 순 없다는 학자들도 있다. 하지만 조 교수의 생각은 다르다. 인도 불교가 이질적인 중국문명에 수용되고 동화되는 데 약 500년이 걸렸다. 그가 보기에 최근 100년은 대중매체 발달과 사회적 역동성 등을 고려하면 고대 500년보다 결코 짧은 세월이 아니다. 말하자면 미국 불교는 미국 풍토에 맞게 독자적으로 진화하면서 빠른 속도로 뿌리를 내리고 있다고 볼 수도 있는 것이다. 인도 불교의 중국 정착은 인류 문명사의 일대 사건이었다. 불교의 서방 정착 역시 문명사의 대사건일 수 있다.

.
.
.

조 교수는 문제는 한국 불교 주류인 조계종단이라 얘기한다. 일제 때부터 한국 불교는 살아남을 가치가 있다는 ‘근대적 (사회)유용성’을 입증하고 일본 불교와는 다른 ‘한국 불교의 정체성’을 지켜내야 했다. 그러나 근대적 유용성을 확보하려고 앞서가던 일본의 근대불교 모델을 따라가면 정체성을 잃고, 정체성만 찾다간 근대적 유용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근대적 유용성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한국적 근대불교 모델을 창안해내는 길이 있었다. 그걸 위해 승려도 결혼하고 육식도 하자는 ‘대처육식’과 염불당 폐지, 근대적 승려교육 등을 부르짖으며 낡은 전통을 벗어던지자는 외침들이 있었다. 만해 한용운이 그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러나 광복 뒤 정체성 문제는 결국 왜색불교 대 민족불교라는 이항대립적 문제로 단순화됐다. 대처 제도를 현실로 인정하면서 대처는 포교에, 비구는 수행에 전념하는 역할 분담을 통해 한국 근대불교의 새로운 모델을 창출하자는 다수파의 주장은 묵살당했다. 친일청산, 왜색불교 추방이라는 사회 분위기에 편승한 소수 비구승들은 다수파 대처승들을 종단에서 몰아내고 조계종을 세웠다. “근대불교를 항일과 친일의 도식적 관점으로… 한국 근대불교사 전체를 이른바 ‘항일 민족의식’과 ‘전통수호를 통한 한국 불교의 정체성 확립’ 과정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관점은 …현재 한국 불교 최대의 종단인 조계종의 성립을 한국 근대불교의 완성으로 보고자 하는 일종의 목적론적 역사 기술이며 …식민시기를 포함해 근대기 동안 한국 불교인들의 다양한 실험과 모색을 완전히 도외시하는 것임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결과적으로 이는 해방 이후 조계종이 등장하는 과정을 정치적으로 정당화하고 은연중에 조계종단을 한국 불교의 유일한 정통교단으로 옹호하는 데 봉사하고 있다.”

.
.


전체보기